본문바로가기

광주교통공사

보도자료

  • Home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본문 시작

보도자료

스크린도어 등 교통약자 편의시설 국고 지원 확대 강력 요구
등록일 2009-04-29 00:00
 

광주서 전국도시철도운영기관 회의 열려

무임수송비용 보전 및 지하역사 방독면 비치 관련 대정부 건의 의결


○ 스크린도어와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등 지하철 교통약자 편의시설 설치에 대한 국고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전국 12개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29일 광주시 서구 마륵동 광주도시철도공사 상황실에서 회의를 갖고 ‘교통약자 이용 편의시설의 국고 지원 확대’ 등을 요구하며 공동대응에 나섰다.

○ 참석기관들은 ‘지하철은 일반 서민을 위한 복리시설인만큼 운영원가에도 못 미치는 낮은 운임을 적용받아 지자체로부터 보조금을 받아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스크린도어나 엘리베이터 등 교통약자를 위한 안전 및 편의 시설물 설치를 위한 국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이에 따라, 스크린도어 설치 비용은 전액, 교통약자를 위한 편의시설물 설치는 현행 국비 40%, 시비 60% 부담에서 국비 60%, 시비 40%로 조정해 줄 것을 요구했다.

○ 특히 2008년 기준 전국 도시철도의 무임수송 손실액이 3,315억원으로 5년전보다 88%가 증가하는 등 각 지자체가 더 이상 버틸 수 없는 지경임을 지적하며 무임손실액의 국비 보전을 강력 촉구했다.

○ 참석기관들은 “무임수송은 국가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법률에 의거 시행되는 만큼 이에 따른 손실은 정부가 보전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대정부 공동 건의문을 채택했다.

지하역사에 비치토록 되어 있는  화재․ 화생방겸용 방독면에 대해서는 ‘지난 2006년 개정된 ks규격에서는 방독면의 정화시간이 5분에서 15분 이상으로 대폭 강화된데 비해 이 규격을 충족하는 생산업체가 국내에 없다’며, 정부기관 주도로 규격에 맞는 방독면을 생산해 줄 것을 건의키로 했다.

○ 이와 관련, 오행원 사장은 “지하철은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공기업이기는 하지만, 사회기반시설로서 국민의 안전과 편의를 최고의 가치로 삼고 있는만큼 중앙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며 “전국 도시철도 운영기관이 뜻을 모아 성과를 이끌어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자료관리담당부서 : 문화홍보팀 (604-810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