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의 소리
- Home
- 참여마당
- 고객의 소리
- 고객의 소리
고객의 소리
환승과 수입금 관련된 질문입니다.
등록일 2009-01-28 00:00
안녕하세요.
늦었지만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다름이 아니라 광주의 환승체계에 대해서 살펴보다가 질의할 내용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광주에서는 지하철 - 버스 간 무료환승시스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환승시스템은 고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이용자들의 대중교통 이용을 증대시킨다는 장점이 있지만,
교통운영기관의 입장으로 보았을 경우 운영수익의 감소로 이어져 기관 운영에 불편을 초래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대중교통 이용자들이 증가하였다고 해도 기존보다는 운수사업수익이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제가 문의 드릴 내용은 이러한 운수사업수익의 감소에 대하여 광주도시철도공사에서는 어떤 식으로 경영활성화를 시킬 것인지와 이러한 국가정책으로 인한 운영기관의 수익감소에 대한 부분에 대하여 국가나 시의 재정지원 및 보전금이 있는지, 그리고 부족분에 대한 어느정도(%)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수입금 정산과 관련된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서울의 경우 서울지하철과 버스간 환승시 수익금 배분에 있어서 스마트카드라는 회사에서 수입금을 정산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기준은 일반적으로 1명의 운행수익을 각 운영기관의 기본요금을 기준으로(ex. 지하철 900원, 버스 900원이라면, 운행수익이 900원 일 때 9:9비율로 배분 - 즉 지하철공사 450원, 버스조합 450원) 배분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요.
광주의 경우는 서울과 비교하여 어떠한 식으로 수익금이 배분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부산과 대구의 경우도 아신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네요 ^^)
모쪼록 조속한 검토가 이루어져 원하는 대답을 최대한 빨리 얻었으면 좋겠네요.
그럼 수고하시고 올 한 해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라겠습니다
RE:환승과 수입금 관련된 질문입니다.
답변일 2009-01-29
김시유 고객님 안녕하십니까?
먼저 저희 광주도시철도에 많은 관심과 애정을 가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고객님께서 문의하신 광주지하철과 버스간 무료환승시스템의 경우 2006년 12월 시행된 이래 환승 전후 수송인원을 비교해 보면 일평균 약 8천여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라 운수수익도 증가하였습니다.
저희 공사에서는 기타 지하철 운영적자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사적인 원가절감노력 및 1호선 연장선과 2, 3호선 건설분위기 조성, 무임수송 비용 정부지원 지속 건의 등 다각적으로 경영활성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수입금 정산과 관련하여 저희 광주지하철은 서울지하철과 같은 방식으로 각 운영기관의 기본요금을 기준으로 배분하고 있으며, 부산과 대구의 경우는 저희 공사와 달리 최초 교통수단을 이용한 곳에서 요금 전부를 수익으로 하고 있습니다.
기타 다른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광주도시철도공사 고객지원팀(☎ 604-8164)으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라며, 고객님의 가정에 항상 건강과 행운이 함께하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