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광주교통공사

통신

  • Home
  • 공사소개
  • 일반현황
  • 시설 및 장비
  • 통신
본문 시작

통신

통신

도시철도 통신설비는 열차운행/승객안전/고객서비스와 연관성이 높으며, 다양한 분야의 시스템 (차량·전기·신호·설비)이 통신설비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도시철도 운영 시스템이 구축됩니다.

광주도시철도 1호선 통신망

교통공사 통신망은 열차운행/승객안전/고객서비스와 연관성이 높으며 차량(무선통신), 신호(차량운행제어), 전기(전력제어), 기계환경(공조, 화재탐지)] 등 다양한 분야의 시스템이 통신망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교통공사 시스템이 운영됩니다.

하단 내용참고

통신망

  • 종합관제(신호,통신,전력,기계환경,여객)
  • 신호(차량운행제어)
  • 기계환경(공조,화재탐지)
  • 통신(전송,열차무선,화상,행선안내,자동방송,전화교환 등)
  • 전기(전력제어)
  • 차량(무선통신)

주요 통신설비

전송설비 이미지

전송설비

교통공사의 중추 신경망으로서 차량, 신호, 통신, 전기, 기계환경 분야에 정보(데이터, 음성)를 전송하는 설비


열차무선설비 이미지

열차무선설비

열차의 안전운행을 위해 운전관제, 열차상호간 등 이동무선국과 고정무선국, 전화가입자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며 비상시 운행하는 모든 열차에 대하여 일제 지령을 내릴 수 있는 설비


화상전송설비 이미지

화상전송설비

역사 대합실, 승강장, 취약개소 등에 CCTV카메라를 설치하여 이용 승객의 안전, 범죄예방, 역사 시설물(ES, ELEV, 발권기, 개집표기)의 감시 등 영상정보를 원격감시·제어할 수 있는 설비


자동방송설비 이미지

자동방송설비

역사 열차접근 정보(경보음, 열차행선지)를 음성으로 승강장에 자동으로 송출하며, 각종 미디어(라디오, 음악 등) 정보를 역사 이용 승객에 제공하는 설비


행선안내설비 이미지

행선안내설비

역사 대합실, 승강장에 설치되어 열차행선지, 열차 접근-도착-출발 상태, 기타 공익정보 등을 DISPLAY에 표출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설비


전화교환설비 이미지

전화교환설비

교통공사 각 부서 내부 또는 외부와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교환설비로 업무수행을 위한 통신수단을 제공하는 설비


재난관련 비상통신설비

자동방송설비 이미지

재난방송

각종 재난시(화재, 전쟁, 자연재해 등) 상황별 사이렌, 재난방송을 자동방송설비를 통해 역사내에 송출하는 장치


복합통신 이미지

복합통신

평시 또는 재난상황 발생시 지상에서 수신되는 라디오 채널별 신호를 지하터널에서 라디오 청취가 가능하도록 지하터널에 중계 제공하는 설비


연선전화 이미지

연선전화

터널 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점검(철도종사자) 및 열차운행 관련 사고 발생시 비상통화가 가능한 유선전화 설비


관제방송 이미지

관제방송

국가재난 상황시 민방위 방송을 수신 자동방송설비(관제방송장치 포함)를 통해 역사내에 송출하는 장치


교통약자 통신설비

비상호출통화장치 이미지

비상호출통화장치

역사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비상통화장치로 긴급상황 발생시 장애인/여자 화장실, 승강장에서 역무실 직원 호출 및 음성통화가 가능한 설비 ※ 마륵∼평동 구간은 비디오폰(음성+영상) 설치됨


음성유도기 이미지

음성유도기

역사 내 주요 위치에 설치되어 음성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시각장애인의 이동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자료관리담당부서 : 통신팀 (604-8173)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