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광주교통공사

화재발생시

  • Home
  • 안전환경
  • 안전가이드
  • 비상시행동요령
  • 화재발생시
본문 시작

화재발생시

발화초기 안전조치

  • 화재발생시 발견자는 즉시 주위 사람과 기관사에게 알린다.
    • 승객용 비상인터폰 이용(객실에 1개씩 또는 2개씩 설치) 또는 직접 기관사에 알린다.
  • 주위사람과 합세하여 소화에 임한다 (소화기 객실에 2개씩 비치)

화재신고

  • 승객용 비상인터폰 및 직접 기관사에 신고
  • 119에 신고

피난유도 및 대피요령

  • 직원의 유도에 의하여 비상구를 통하여 안전한 곳으로 대피
  • 직원의 유도를 받지 못할 때
    • 화재시 최단거리에 점등된 통로유도등 및 피난구 유도등의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외부출입구로 대피한다.
  • 대피요령
    • 운행 중인 전동차
      1. 연기 및 유독가스를 피해 다른 객실로 이동한다.
      2. 질서 있게 열차가 정차될 때까지 기다린다.
    • 전동차가 정차중일 때
      1. 신속하고 질서 있게 전동차에서 내린다.
      2. 안내원의 지시에 따라 질서 있게 비상구를 통해 대피한다.
      3. 연기 속을 통과할 때는 수건 등으로 입과 코를 막고 낮은 자세로 통과한다.
      4. 공포감을 극복하고 침착하게 행동한다.

열차화재예방 및 화재발생시 손님의 협조사항

  • 수상한 자의 신고
    • 거동수상자 및 위험물질(휘발유, 신나 등) 소지자 발견시 이상행동 저지 및 신고
    • 경찰인력 등 지원인력 필요시 기관사에게 통보(객실비상인터폰사용)
    • 전동차 객실 내에서의 흡연 및 불장난 금지

전동차내 비치 기기 사용 및 행동요령

  • 소화기
    • 소화기 위치 : 객실 앞·뒤 통로문 옆
    • 소화기 사용법
      1. 고정되어 있는 벨트를 앞으로 당겨서 풀고 소화기를 꺼낸다.
      2. 왼손으로 소화기 손잡이 아래 부분을 잡고 오른손 검지손가락 으로 안전핀을 당겨서 뽑아낸다
      3. 노즐을 잡고 불이 난 곳을 향한 다음 손잡이를 강하게 움켜쥔다.
  • 출입문 비상 개폐 스위치
    • 출입문 비상손잡이 위치 : 출입문 상부 우측 또는 출입문 우측 객실 벽면
    • 사용방법
      1. 출입문 상부에 있는 비상손잡이는 커버를 깨거나, 출입문 우측 객실 벽면의 비상손잡이는 커버를 손으로 연다.
      2. 비상손잡이(스위치)를 잡고 오른쪽으로 비상위치까지 돌린다.
      3. 출입문을 양손으로 연다.
  • 승객용 비상인터폰
    • 승객용 비상인터폰 위치 : 객실 앞 또는 뒤쪽 통로문 왼쪽 벽면
    • 사용방법
      1. 비상인터폰 커버를 깨거나 푸쉬버튼을 눌러 커버를 연다.
      2. 인터폰을 위로 밀어 올려 빼 낸다.
      3. 말을 할 때는 키를 누르고 긴급사항을 알린다. ※ 키를 놓으면 기관사의 응답을 들을 수 있음
      4. 만일 기관사가 운전실에 없는 경우 약 10초 후에 자동으로 열차를 통제하는 관제실과 통화가 연결되므로 잠시 동안 기다렸다 통화한다.

승강장이 없는 곳에서 긴급히 하차 필요가 있을때

  • 기관사의 유도에 의하여 운전실에 있는 비상사다리 이용
  • 기관사의 유도에 의하기 어려운 긴급 상황시에는 출입문 비상스위치를 취급하여 문을 열고 선로에 내리되 반대방향 선로에는 들어가지 말 것
자료관리담당부서 : 재난안전팀 (604-8154)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