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광주교통공사

신호

  • Home
  • 공사소개
  • 일반현황
  • 시설 및 장비
  • 신호
본문 시작

신호

신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자연동장치를 2중화하고 장비간 연결의 노이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광케이블로 구성하였으며, 세계적인 철도표준 및 안전규격에 따라 설계, 제작되었습니다.

신호시스템의 특징

광주도시철도 1호선 신호시스템의 특징은 대규모 수송시스템에서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자연동장치를 2중화하고 장비간 연결의 노이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케이블로 구성하였으며 일본공업규격(JIS)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철도표준 및 안전규격에 따라 설계, 제작되었으며 품질관리를 철저히 하여 열차 및 승객의안전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있다.

Local(신호기계실 열차제어)설비 및 현장설비

자동열차보호장치 이미지

자동열차보호장치
ATC(Automatic Train Control) / ATO(Automatic Train Operator)

전자연동장치에 의해 결정된 진로 상에서 열차 운행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열차 속도의 결정과 관리, 정위치 정차 설비제어, 역간 운행의 자동조절기능 등을 수행한다. 전자연동장치와 마찬가지로 중요부분은 2중계로 구성하여 고장 대비, 신뢰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전동차간의 거리가 항상 일정거리(안전거리) 이상 유지하도록 하며, 그 이내로 접근시 또는 사소한 고장발생시 열차는 자동으로 정지하게 된다.


전자연동장치 이미지

전자연동장치
EIE(Electronic Interlocking Equipment)

자동으로 열차의 진로를 제어하여 열차의 충돌, 추돌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로서 전자회로와 컴퓨터의 채택으로 열차의 안전 운행이 가능하도록 해주며, 과거의 계전기 방식이나 기존 지하철 설비보다 성능이 우수하다.
처리부는 Fail-Safe 마이크로 컴퓨터를 채용하여 고속처리 및 고속전송을 실현하고 있으며, 특히 모든 설비가 2중계로 구성되어있어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임으로써 열차 운행의 안전성 확보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궤도회로 검지장치 이미지

궤도회로 검지장치 : TD (Train Detector)

운행 중인 열차의 운행위치를 알 수 있도록 열차를 검지하는 설비로 열차의 안전 여부를 확인한다. 선로를 전기회로로 이용하여 구성하였으며, 이 정보는 전자연동장치로 전송되며 열차의 충·추돌을 방지하기 위한 기초정보로 사용된다. 또한 선로의 절손여부도 검지할 수 있는 중요설비이다.


열차제어용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이미지

열차제어용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NV-COM (Non-Vital Communicator)

NV-COM은 전자연동장치와 ATO장치로부터 현장신호정보 및 ATO 정보를 수신하여 LCC 및 LDTS로 전송한다. TTC와 LCC로부터 현장 신호 제어 및 ATO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연동장치, ATO장치 등으로 전송한다.


현장 신호제어반 이미지

현장 신호제어반 : LCC (Local Control Console)

LCC는 운용자가 모니터 및 Keyboard를 이용하여 열차운행과 관련된 제어 및 감시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운용자는 제어콘솔(LCC)을 이용하여 선로전환기 단독전환, 진로의 수동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선로전환기 장치 이미지

선로전환기 장치 (Point Machine)

열차의 운행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동력에 의해 선로의 방향을 전환하는 장치로, 전환 후 열차가 통과할 때까지 움직이지 못하도록 쇄정(잠금장치)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동력 전달방식을 과거의 기계식에서 전자화(마그네틱 클러치)함으로써 동․하절기의 온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아 기계적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있다.


ATC/TD설비용 AF본드 이미지

ATC/TD설비용 AF본드(Impedance Bond)

ATC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속도코드를 열차로 전송하는 기능과 현장선로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를 신호기계실의 TD장치에 전달하여 열차위치를 검지하고 차상신호 장치에서는 열차를 가, 감속하여 운행된다.


열차위치정보 제공용 ATO Marker

열차위치정보 제공용 ATO Marker (ATO 지상 마커)

자동운행 시 열차를 승강장에 정위치 정차시키기 위한 거리 보정용 센서로 이용되며 5종류(P1∼P5)로 구성 운용중에 있다. 열차는 ATO 프로파일과 ATO 마커의 지점정보를 연산하여 다음 승강장에 정위치 정차한다.


TWC Loop 이미지

지상, 차상간 통신을 위한 지상용 안테나
TWC Loop

현장 선로에 설치되며 지상-차상간 열차 상태 정보 및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로 사용된다.


부정출발방지 설비 이미지

부정출발방지 설비 : PID (Prevent Illegal Departure)

차량기지의 경우, 평시에(신호기가 미 현시) 신호기계실에서 전송되는 ‘01’ 속도코드 명령을 이용하여 기관사의 오출발(열차의 부정출발) 방지를 위한 장치로 이용된다.


신호기 이미지

신호기 장치 : Shunting Signal

기관사에게 열차의 운행가능 여부를 알리는 장치로 전자연동장치로부터 절대 안전조건을 수신하여, 기관사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신호를 나타내 주며, 열차운행시 정해진 시간 패턴에 의하여 열차가 일정구간 내로 진입시 자동으로 진행신호를 현시하게 된다. 이때 전방조건이 충족하지 않을 경우 적색등을 현시시켜 열차가 진입할 수 없도록 한다.


분기부 융설장치 이미지

분기부 융설장치(Snow Melting Equipment for Railway Turnout)

지상구간은 겨울철 폭설 등 계절적 영향을 받기 쉬운 장소이며, 분기기의 선로전환기는 열차의 운행방향을 조정하고, 열차가 통과하기까지 레일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쇄정(잠금장치)하는 장치로서 이 장치가 고장 시에는 열차탈선 등 대형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중요설비이다. 이 분기기에 겨울철 폭설 시 눈을 녹일 수 있는 융설장치를 설치하여 선로전환기가 정상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열차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열차정시운행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었다.


TCC 이미지

TCC(Total Control Computer)

열차종합제어 주컴퓨터로 당일 열차운행계획관리, 열차운행 실적 생성, 열차진로 자동 및 수동제어, 열차번호 이동 및 추적, 행선안내 정보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이다.


MSC 이미지

MSC(Management Support Computer)

운영스케줄 관리 및 실시간 실적을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서버로 열차운행계획을 열차제어컴퓨터에 송신하고 그 계획에 따라 열차의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실제로 열차가 운행한 실적자료들을 조회하거나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 수행한다.


자료관리담당부서 : 신호팀 (604-8135)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