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 Home
- 공사소개
- 일반현황
- 시설 및 장비
- 차량
차량
차량
광주교통공사의 전동차는 첨단소재 적용으로 안전성을 확보하고, 정확하고 안전한 자동운전체계를 확립했습니다. 또한 화재감지기와 객실노선안내표시기, 승객안내표시기를 설치하였습니다.
전동차 특징
- 진취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유선형 알루미늄합금 차체
- 정확하고 안전한 자동운전체계의 확립
- 국제수준의 첨단소재 적용으로 안전성 확보
- 난연성 내장재, 바닥재, 갱웨이 등 - 경량화에 따른 운전전력비 및 보수비 절감
- 객실 LED 등구류 및 화재발생대비 화재감지기 설치
- 청각장애인을 위한 객실노선안내표시기 설치
- 상업광고 가능한 승객안내표시기 설치
주요제원
항목 | 내용설명 |
---|---|
차량편성 | 4량 1편성(Tc+M+M+Tc) |
운전형태 | 무인운전이 가능한 1인 운전 |
성능특성 | 최고속도:100㎞/h, 운영속도: 80㎞/h, 가속도: 3.0㎞/h/s 감속도: 상용제동 3.5㎞/h/s, 비상제동: 4.5㎞/h/s |
정원 | TC : 113명, M : 124명 |
자중 | TC : 28.7TON, M: 30.4TON |
연결면간거리 | 18,000mm |
차체폭 | 2,750mm |
최대높이 | 4,000mm(레일상면기준) |
대차중심간 거리 | 12,400mm |
객실상면높이 | 1,150mm(레일상면기준) |
연결기높이 | 880±10mm(레일상면기준) |
대차(치차비) | 공기스프링식 볼스타레스 대차(7.07:1) |
판토그라프 | 하부프레임 교차형, 공기상승 스프링하강식 |
견인전동기 | 3상 농형 유도 전동기, 대차 탑재형(정격출력:210KW이상) |
견인제어장치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VVVF) 방식 인버터 |
보조전원장치 | 일정전압 일정주파수(CVCF) 정지형 인버터(IGBT소자사용, 정격용량:160KVA) |
주공기압축기 | 스크류 방식, 1단 압축(용량: 1,000ℓ/min) |
냉방기 | 옥상노출취부, 천정집약 공급덕트유도 분산형(40,000㎉/hr(1량당)) |
보안장치 | ATC/ATO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차외설비
항목 | 내용설명 |
---|---|
냉방기 | 옥상취부,노출형,천정,집약공급 자바라형 덕트 20,000 kcal/hr/unit/x2세트 |
차체/외부형태 | 경량구조의 알루미늄-압출재 전두부 FRP 적용으로-유선형 |
승객 출입문 | 전기구동에 의한 도어 엔진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로 장애 감지가 우수함 |
연결기 | 전기연결기가 있는 자동 밀착 연결기 반영구 밀착 연결기 |
추진장치 | (IGBT) VVVF 인버터 차량자기진단 기능 종합제어장치에 의한 제어 |
제동장치 | 전공변환 상용제동 고 신뢰성의 제동 블렌딩 Fail-safe 시스템 |
통로 연결막 | 승객의 안락함 뛰어난 안전과 차음 넓은 공간 |
대차 | 볼스타레스 대차 승차감 향상 경량화 |
실내설비
항목 | 내용설명 |
---|---|
내장판 | 모듈식-난연성-안락한 분위기 조성 |
의자 | 경량구조-미려한 외형 및 내구성-호환성 |
창문 | 안전 이중 유리-넓은 시야 |
냉난방 장치 | 냉난방기-송풍기 |
승객안내 표시기 | LCD 소자를 이용한 표시방식 방송장치와 연계 운행안내 및 각종 공지사항 전달 |
상구조 | 플로팅 구조(소음 저감) |
방송장치 | 객실소음에 따라 음량이 자동 조정된 첨단시스템 비상인터폰 |
종합시스템개통도

주요장치

추진장치
추진장치는 PWM 변조에 의한 전압형 가변전압 가변주파수(VVVF) 방식으로 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소자를 사용하였으며, 회생제동력을 최대로 사용하기 위하여 차량측에서 회생부하에 따라 회생제어를 실시하여 소비에너지 절감을 도모하였다. 또한 역행 및 제동시 승객에게 주는 불쾌감을 유발하는 자기음 발생 및 소음을 최소화 하였다.

객실승객안내표시기(LCD)
객실 LCD 승객 안내 표시기는 설정기, 제어장치, 표시기로 구분되며, 승객에 대한 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역 안내정보, 출입문 방향과 공익홍보, 생활정보등의 운영이 가능하며, 문자정보 및 각종 동영상을 LCD 승객 안내 표시기에 표출하여 승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한다.

열차종합제어장치 (TCMS)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으로 각종 주요기기를 감시하고 제어하며, 승무원에게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한다.

ATC / ATO 장치
ATC시스템은 자동절체방식의 이중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차상시스템의 결함 및 위협 조건으로부터 열차와 승객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ATO시스템은 지상으로부터 수신되는 속도코드에 따른 유연한 가속 및 감속, 제어 목표 속도의 유지, 편성량에 따른 역 승강장내의 정위치 정차, 열차 출입문 제어 등 승무원이 수행하는 일반적인 기능들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객실출입문
국내 최초로 객실 출입문을 차체의 바깥에서 양쪽으로 열리고 닫히는 External Sliding Door를 적용 하였고, 도어엔진은 전기식 Screw Type를 적용하였다.

노선안내표시기 (LED)
노선안내 표시기는 차량 출입문 상단 커버에 설치되며 객실내의 승객들에게 전동차의 방향 및 진행 정도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장치이다. 특히 청각 장애인들이 전동차의 현재 운행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보조전원장치 (SIV)
열차의 서비스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냉·난방장치, 주공기압축기, 실내객실등 및 직류제어 전원에 전기 공급한다.

제동장치
제동장치는 회생제동 병용,전기지령식 공기제동 방식이며, 보안, 비상, 상용, 정차, 주차제동으로 구성되며, 제동작용장치 각 차량별 설치, 정밀 응하중 제어를 위한 공기스프링 4개소의 압력검지, ATC/ATO 및 TCMS와의 협조제어, 자기 진단 기능들이 적용된 자동운전차량에 적합한 시스템이다.

휠체어 공간설비
모든 차량 각 단부에 휠체어 및 유모차등의 이용공간을 확보하여 교통약자에 대한 편의시설을 확보하였다.

갱웨이
발판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이중구조로써 차음 성능 향상 및 단열효과 상승으로 인하여 안락한 승차감을 유지하며 옆 차량간 내부 전체가 한눈에 들어옴으로 인해 승객의 이동/배치가 용이 하여 승/하차시간 절감 및 단순 조립구조로서 유지보수가 용이한 선진형 TYPE을 채용하였다.

내장판
항공기 내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Nomex Honey-Comb 내장판은 가볍고 화염성능이 우수한 고급형 내장재로써 알루미늄 차체의 경량 구조에 걸맞는 내장판이다.

화재감지장치
열,연복합식 감지기로서 연기감지는 광전식스포트형, 열감지는 정온(57°C이상)에서 감지되도록 제작되었다. 화재경보 수신시 TCMS모니터(DU) 화면에 경보문자 현시(화재발생) 및 객실내 음향 표출, LCD 모니터에 화재발생경보 문자 표출을 하게 된다.

객실조명(LED)
전동차 객실조명을 친환경 LED 조명시설로 교체하여 지역 광(光)산업 특화 및 이미지 개선 등 에너지절감으로 고객만족도 향상에 기여하였다.

전동차 내 와이파이(통신3사)
1호선 전동차에 사업자용 와이파이(Wi-Fi) 존을 구축하여 휴대폰, 노트북 등을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양질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교통약자 배려석(임산부석 포함)
전동차 객실내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이용 편익 증대와 배려 문화 강화를 위해 기존 교통약자 지정석 개조를 실시하였다.
(교통약자 배려석 1104석, 임산부석 184석)

공기질 개선장치
터널 주행 및 정차 후 출입문 개폐로 인해 객실 내로 유입되는 분진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설치했으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프리 필터와 미세먼지 필터를 통해 여과된 공기를 객실 내부로 송풍·순환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