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광주교통공사

고객의 소리

  • Home
  • 참여마당
  • 고객의 소리
  • 고객의 소리
본문 시작

고객의 소리

2호선
등록일 2008-04-08 00:00
성별 : 여자
연령대 :
거주지(구) :
민원발생 요일 :
민원발생 장소 :
접수일 :
처리기한 :
====회원제인 광주도시철도건설본부 대신 여기에 글 올린 점 사과드립니다.====

저는 2호선 건설 대신 1호선 연장을 제안하는 글을 쓰려고 합니다.

현 2호선은 노선이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기에 현실적으로 부적합하게 되어있습니다. 또한 광산구 주민에게 차별의 느낌을 부여해줍니다. 어떤 분은 이렇게 평을 하더군요. [서울로 치자면 2호선이 강북구간만 다니는 꼴] 이라구요. (저는 남구에 삽니다.)

그럼 왜 노선이 바뀌어야 하는지 이유를 들어보겠습니다.

① 광주 북구 대부분 지역 (일곡지구, 문흥지구 등) 과 광산구 전지역(송정리, 하남, 수완, 신창, 첨단 등)을 벗어나 남구와 동구, 서구에 치우쳤기 때문입니다. 도청 이전 후 공동화되는 동구, 도로가 시원쓰레 뚤린 남구(월드컵 경기장 주변)와 서구의 연결은 네트워크 연결이라는 2호선 목표의 실효성을 무명무실하게 만들 뿐더러 기대하는 수익성이 날지에도 의문이 들게 만듭니다.
② 주요 시설(광천터미널, 월드컵 경기장, 전남대 등) 을 갈 수 있는 대체 방법이 많습니다. 먼저 광천터미널입니다. 광천터미널은 농성역에서 내려 15분 정도 걸어가면 도착할 수 있습니다. 빠르게 걸어가면 10분 정도 걸리죠. 상무역에서 내려 2호선 전철을 타서 갈 리가 없습니다. 오히려 전철을 타러 올라가고 또 기차를 기다리는 과정에서 피곤이 더 쌓이게 됩니다. 전남대는 급행버스가 두 대, 지선버스가 10대 이상 지나갑니다. 월드컵 경기장은 버스가 적지만, 주로 롯데마트를 들르기 위한 쇼핑손님들이 많이 오고, 이들은 대부분 버스보다는 개인 차를 타고 옵니다. 이런 상황에서 현 2호선은 이 주요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잡을 만한 노선이 절대 아닙니다.
③ 철도관련 문제와 관련해 2호선은 그 해결책이 될 수 없습니다. 호남고속철도가 현재 공사 중이고 KTX차량기지를 송정리 쪽에 세운다고 하는데, 공사가 완료되면 광주역은 바로는 아니더라도 차후 폐역될 것이고, 안 그래도 금호고속에 밀리는 철도수요가 더욱 줄어듭니다. 빙 돌아가는 2호선 타고 역으로 가는 대신 버스나 택시를 타고 고속도로와 바로 연결되는 유스퀘어로 가버릴 테니까요.
④ 전남대 연장 문제;; 이건 반영되지 않겠지만 이 제안이 나왔다는 것만으로도 현 2호선이 문제가 있음을 극명하게 드러내주죠.
⑤ 현재 그 형태를 완전히 잃어버린 광주역 ~ 남광주 ~ 효천의 폐선부지를 노선에 추가한 것도 문제입니다. 2002년 당시 푸른길 조성 공사가 한창일 때 추가라니, 정말 아무렇게나 노선을 그은 느낌을 줍니다. 푸른길 조성 공사는 지금도 하고 있더군요.
⑥ 노선 외적의 문제로, 25m 고가 계획은 정말 어처구니없습니다. 고가 아래는 햇빛을 쬐지 말라는 것인지, 도보객들은 하늘을 보지 말라는 것인지, 또한 고가 아래는 슬럼화가 진행되리라는 사실 잘 아시지 않습니까. 25m 높이도 어이없습니다. 사생활문제때문에 그렇게 계획한 것 같은데, 그럼 차라리 지하로 짓는 편이 낫습니다. 그 높이를 올라가는데 몇 분이나 걸릴 지 두려워 집니다.

하지만 1호선 연장을 하면 이런 문제가 백 프로는 아니더라도 확실히 해결 됩니다.

제가 제안하는 가칭 1호선 3구간의 노선 개요는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고, 정거장은 이렇습니다.

120 유동사거리(정거장위치는 농협 유동지점 앞) -> 평동행과 소태행 혹은 소태행과 (가칭) 용전행을 갈아타는 환승역
121 광주역 -> 광주의 대표적인 역, KTX 환승
122 북구청 -> 북 전남대 후문, 동 말바우 시장, 서 전남대 정문, 남 광주역의 중심지.
123 전남대 후문 위(정거장 위치는 삼거리, 호남일보 앞) -> 문흥지구 입구
124 오치(정거장 위치는 사거리) -> 오치동 입구
125 삼일 -> 주변에 31사단과 아파트 단지가 있음
126 일곡 -> 일곡지구 입구
127 일북 -> 일곡지구 북부
128 금호패밀리랜드
129 용전
130 또 하나의 차량기지

10개 정거장(여기서 한 두개 조정) 과 1개의 차량기지, 10km 구간의 연장 하나가 가져다 주는 효과는 이렇습니다.

① 현 2호선 전남대 연장 문제를 해결합니다. 직선형태니 확실하지 않습니까? 거기에 수요가 많은 북구청 ~ 전남대 후문, 북구청 ~ 말바우 시장을 연결하기 때문에 많은 수익을 나오는 것은 당연히 예상할 수 있죠.
② - 1. 광주역 이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물론 철도 손님이 줄기는 하겠지요. 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선택지가 더 생깁니다.
현 2호선대로 지어지면, [돌아가는데 시간 많이 걸리지, 또 지하철이 늦게 오면 늦어지는 것은 당연하고, 그냥 버스터미널로 가자] 고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1호선을 연장하면 [편하게 지하철 타고 송정리역으로 가서 KTX를 탈까] 의 선택지가 하나 더 생기게 되고, 지하철과 KTX를 연계한 상품을 내놓으면 송정리역의 이용객은 더욱 증가하겠지요.
② - 2. 광주역 이전으로 주변 민가 소음 문제가 해결됩니다.
② - 3. 광주역 부지를 차량기지로 바꾸고, 남은 폐선을 활용한 또 다른 지하철 노선을 만들 수 있습니다. 장기 구상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관통하는 노선으로 지으면 확실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③ 광주 북구 지역과 송정리를 연결해줍니다. 남북선으로 계획된 현 3호선의 문제가 동쪽으로 치우쳐져 있다는 것입니다. 더구나 금남로 4호역이 환승역으로 설정되었는데, 이렇게 되면 북쪽으로 빠르게 가지 않으므로 (현 3호선이 중간에 돌아가는 형태이므로 이용객은 빠르게 북으로 가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습니다.) 현 3호선의 목적인 남북의 환승이 불편해 질 것이 자명합니다. 하지만 1호선 연장을 하면 동쪽으로 치우쳐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2호선의 문제인 북구 소외 현상을 일부 해소할 수 있습니다.
④ 금호패밀리랜드의 활성화에 도움을 줍니다. 광주의 대표 놀이공원 패밀리랜드는 외곽에 치우친 위치 탓에 북구 일부 지역을 제외한 타지역 사람들이 가기에는 쉽지 않고, 따라서 대표 놀이공원이란 말은 허울이 되어버렸습니다. 주말에도 사람이 많지 않더군요. 하지만 1호선을 연장하여 지하철로 쉽게 가게 된다면 패밀리랜드의 활성화와 더불어 지하철 수익에도 도움을 줄 것이 분명합니다.
⑤ 1호선 이용객이 엄청나게 증가합니다. 중,고등, 대학생과 아파트 주민, 그리고 패밀리랜드 이용객과 버스 환승 손님 등 수요가 어마어마하고, 이 수요가 만들 수익은 말할 필요가 없겠지요. 더불어 실패한 노선이라는 지금의 1호선 평가를 180도 바꾸어 줄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이 제안 노선도 광산구 지역을 소외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만, 중앙을 강과 고속도로가 관통하는 광주의 형태때문에 어쩔 수 없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광산구 주민의 의견을 반영해 광산구 지역까지 순환선을 연장하면 노선의 모습이 괴악해질 뿐더러 건설비도 훨씬 많이 들어갈 것이 자명합니다. 또 그 이용객을 감당하려면 경전철이 아닌 중전철로 지어야 하겠죠. 그럴바에야 차라리 직선노선을 더 만들어 ㅁ 자 형태의 순환선을 완성시키는 것이 광산구 지역을 위해서도 낫다고 봅니다.

10km 구간이므로 1호선 1구간에 맞먹는 건설비가 문제가 되겠지만, 아파트단지와 대학교를 연결하여 생기는 수익을 생각하면 무리한 비용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지하철이 적자가 남에도 계속 지어야 하는 이유가 바로 공공성때문인 것으로 압니다. 그렇기에 노선은 공공성을 살리는 길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11일 이후 재검토되는 2호선 노선.
어설픈 순환선 대신 확실한 직선노선을 만들어 주시길 바랍니다.
아니라면 광주 전체를 도는 순환선을 확실하게 만들어 주세요.
노선 선정 시 정말로 심사숙고 하여 결정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자료관리담당부서 : 고객만족팀 (604-8114)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