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광주교통공사

자주하는 질문

  • Home
  • 참여마당
  • 고객의 소리
  • 자주하는 질문
본문 시작

자주하는 질문

전체 104건
Q 비상시
승강장 승객추락 방지를 위해 어떤 조치를 하고 있나요?
A


- 20개 역사에 승강장안전문을  설치하여

  승강장 승객추락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기타 문의사항 : 재난안전팀(☎ 604-8151)

Q 역사일반
역사 및 전동차 내 흡연 시 벌칙은?
A

- 철도안전법 제47조제1항제4호를 위반하여 여객열차에서 흡연을 한 사람은 제82조에 의해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국민건강증진법 제9조 4항에 의거 공중이용시설인 역사 및 전동차 전체는 금연구역이므로,

   이를 위반 시 동법 제34조 3항에 의거 1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또한, 담배꽁초를 버릴 시에는 경범죄 처벌법 제3조에 의거 1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科料)의

   형으로 처벌됩니다.

 

※ 기타 문의사항 : 재난안전팀(☎ 604-8151)

Q 역사일반
역명변경 및 제정(변경)절차는?
A - 역명 변경 사유
  ☞ 역명변경은 기존 역명으로 사용하던 주변의 시설명칭이
       변경된 경우와
  ☞ 지역주민의 민원 등 필수 불가한 경우, 公社에서 개정사유
       등 타당성 여부를 우선 검토한 후 광주시 건의
- 역명제정(변경) 기준
  ☞ 관심있는 시민과 각계 각층의 폭넓은 의견수렴
  ☞ 시민들이 알기 쉽고 부르기 쉬운 명칭 선정
  ☞ 역사 주변의 특색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는 역 선정
  ☞ 향토적이며 전통?역사성을 고려한 역명 선정
  ☞ 특히, 특정업체 및 집단의 이해와 직결된 명칭 선정을
       배제하고 대다수의 시민들이 선호하는 역명 선정
- 역명제정(변경) 절차
  ① 시민설문조사 및 자치구 의견수렴, ② 광주시 지명위원회
   자문, ③시정심의위원회 심의(필요시), ④ 시의회 설명(보고)
  ⑤ 결정 고시
  ※ 신설된 역명 제정은 市도시철도건설본부에서 역명 제정 기준과
      절차에 따라 광주시지명위원회 등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결정함
   ※ 기타 문의사항 : 역무운영팀(☎ 604-8161)
Q 시설일반
역사내 전동차에서 촬영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 절차 : 신청(촬영 제작자 등) → 승인 및 사용료 부과 → 촬영 및 현장정리
- 세부내용
 ① 신청 : 촬영 예정일 7일전
   - 신청자 : 광주광역시영상위원회 경유 또는 직접 신청
   ※ 제출서류 : 신분증, 신청서, 약정서, 촬영계획서 등
 ② 승인 : 촬영 예정일 3일전(신청 접수후 4일 이내)
 ③ 수수료부과 : 촬영장소 및 시간에 따른 수수료 부과
  ※ 신청접수 및 기타사항 문의처 : 영업계획팀(☎604-8084)
Q 역사일반
남광주역과 농성역의 경우 상하행 방향을 잘못 갔을 때 요금을 또 내야하나요?
A - 아닙니다. 역무원에게 잘못 승차한 사실을 알리고 역무원의
  안내에 따라 목적지 방면 승강장으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 참고로, 역무원이 보이지 않을 경우 비상게이트에 보면 적색
  버튼이 있으므로, 비상버튼을 눌러 도움을 요청하시면 됩니다.
  ※ 기타 문의사항 : 역무운영팀(☎ 604-8161)
Q 시설일반
섬식 승강장과 상대식 승강장의 차이는?
A - 섬식 승강장은 승강장이 선로와 선로사이에 둘러싸여 있어 섬처럼 보이는 승강장 형식을 말합니다.
- 즉, 대합실에서 승강장으로 내려가면 다른 방면의 지하철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승강장으로써 승객이 양 방향의 승차 대기시 이동방면이 반대인 승객과 서로 등을 지며 대기하는 승강장으로 문화전당(구도청)역과 금남로4가역이 섬식 승강장에 해당됩니다.
- 상대식 승강장은 다른 방면의  승강장이 선로를 중앙에 두고 서로 마주 보는 형식의 승강장을 말합니다.
- 즉, 대합실에서 승강장으로 내려갈 때부터 각 방면별 승강장이 분리되어 있으며, 승차 대기시 서로 마주보는 승강장으로 문화전당(구도청)역과 금남로4가역을 제외한 모든 역이 상대식 승강장에 해당됩니다.
  ※ 기타 문의사항 : 토목궤도팀(☎ 604-8241)
Q 시설일반
게이트가 다른 지역 지하철과 달리 오픈 시스템으로 되어 있는 이유는?
A - 광주도시철도에 시설된 개집표기는 “플랩” 방식의 개집표기입니다.
- 오픈시스템으로 운영하는 이유는 정상적인 승차권 처리 시에는
  플랩을 동작시키지 않고 개집표기 이동통로를 열린 공간 상태로
  유지하여 승객의 이동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동시에 많은
  승객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아울러, 정상적인 승차권 처리가 되지 않으면 플랩을 닫히게하여
  승객이 바로 인지하실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참고로, 클로즈 시스템은 승차권 처리 시마다 플랩을 열고
      닫기를 반복하여 승객의 이동에 지장 및 혼란을 줄 우려가
      있어 적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 기타 문의사항 : 역무자동화팀(☎ 604-8032)
Q 운임/교통카드
우대권 발급이 잘 안되는데 개선해 주세요
A

현재 각 역사에는 우대권 이용대상자의 편의를 위하여 신분증(주민등록증, 복지카드, 유공자카드, 운전면허증, 상이군경증)을 접촉하시면 바로 우대권발급이 되도록 절차를 간소화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분증인식성능 향상을 위해 2018년10월 20개 역사에 개선된 신분증인식기로 교체하였으며, 우대권 발급 시 이용하시는 분들의 편의를 위하여 음성안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발급이 잘 되지 않을 때 나오는 음성안내는‘신분증을 살짝 눌러 끝까지 밀어 넣어주세요.’이며, 이때는 신분증이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았거나 인식중 흔들림이나 휘어짐, 신분증에 먼지나 코팅, 유리테이프 등 부착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일시적 오류이므로 상태를 확인하시고 다시 신분증을 접촉하시거나 역고객안내센터에 문의하시면 자세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기타 문의사항 : 역무자동화팀(☎ 604-8032)

Q 역사일반
코레일 광주송정역과 지하철 광주송정역이 바로 연결되어 있나요?
A - 광주송정역 4번 출입구를 통하여 바로 연결되어 있으며, 코레일
  역까지는 약 200여 미터 거리입니다.

  ※ 기타 문의사항 : 역무운영팀(☎ 604-8161)
Q 기타이용관련
광천터미널과 가장 가까운 지하철 역은?
A - 지하철에서 광천터미널까지 까장 가까운 역은 화정역(4번 출구)이며,
  자동차로 6분, 대중교통으로 15분, 도보로 20분 정도 소요됩니다.
  ※ 기타 문의사항 : 역무운영팀(☎ 604-8161)
Q 역사일반
역사 출입구별 주요 인근시설 안내자료를 알고 싶어요
A - 공사 홈페이지를 이용하시면 역 관련정보(역 소개, 내부시설, 역세권 안내, 열차시각 등)를
  자세히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홈페이지 이용 : 『이용안내』→『사이버스테이션』→『역』
   ※ 기타 문의사항 : 역무운영팀(☎ 604-8161)
Q 역사일반
역사 출구별 시내버스 연계자료를 알고 싶어요?
A  - 역사 출구별 지하철 경유 시내버스 노선표는 붙임 자료를 참고하세요.
  ※ 역사 출구별 시내버스 노선표 : 붙임 참조
자료관리담당부서 : 고객만족팀 (604-8114)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