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Home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본문 시작
광주지하철 개통1년, ‘시민의 발’로 정착
광주지하철 개통1년, ‘시민의 발’로 정착
1호선 1구간(소태~상무) 1,150만명 이용, 지구 26바퀴 운행
○ 오는 28일 개통1주년을 맞은 광주도시철도공사(사장 : 문원호)는 지하철 1호선 1구간(12.1km)을 99,233회 총1,036,864.4km를 운행하였고 1,150여만명의 시민들이 이용하여 명실상부한 ‘광주시민의 발’로 정착했다고 밝혔다. 총운행거리 104만km는 지구를 26바퀴 돌고, 지구에서 달까지 2.7회 갈 수 있는 거리다.
○ 시민들의 염려와 기대 속에 지난해 4월28일 개통한 광주지하철은 이제 새로운 대중교통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또한 개통 1년의 성공적인 안전운행 확보와 지하철이용 진전으로 말미암아 광주시가 국제도시, 첨단도시, 문화중심도시로 발돋움하는데 필요한 대중교통문제의 대안이자 지역경제 활성화를 앞당기는 필요충분조건을 갖추게 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개통이후 단 한차례의 사상사고도 발생하지 않은 무사고운행을 지속하고 있는 광주도시철도는 개통원년인 2004년에는 안전운행기반구축을 최대과제로 삼았다면 2005년 개통1주년을 맞이하여 시민들의 발로써 더욱 신뢰받고, 사랑받는 ‘일등광주, 일등 지하철’을 만들기 위해 개통백서를 발간하고 강도 높은 경영혁신을 추진할 예정이다
<수송현황>
○ 개통초기인 지난해 7월에는 일일평균 2만7천명이었던 승객이 지난 10월부터 급격이 늘어 일일평균 3만4천여명이 지하철을 이용하고 있고, 더불어 운수수입은 2004년 일일평균 1천5백3십만원에서 2005년 일일평균 1천7백만원으로 늘고 있는 추세다. 이는 지난해 10월 시내버스 교통카드 도입과 올 2월1일과 2일 폭설로 인한 육상교통두절 등으로 인해 지하철을 이용한 시민들이 지하철의 정시성, 안정성, 편리성 등을 직접 체험하고 고정고객이 된 것으로 보인다.
○ 개통1년 동안 개통당일 19만명이 무료시승한 것을 제외하고 일일평균 승객이 가장 많은 날은 지난해 5월25일 시내버스 파업 첫날로 6만명을 기록했으며, 가장 적은 날은 지난 구정 당일인 2월 9일로 8,449명만이 탑승했다. 또한 폭설이 내린 지난 2월1일에는 4만7천명이 승차한 것으로 집계됐다. 승객이 가장 많은 역은 도청역으로 일일 5천여명이 이용한 반면 양동시장역과 돌고개역은 일일 1천5백여명의 승객만이 이용했다.
- 전국최고의 무임수송율
○ 무임수송인원은 지난해 개통후 8개월동안 전체 수송인원수 775만명의 22%인 166만여명이 이용하여 11억6천만원의 손실이 발생하였으나, 올해는 수송인원수도 늘고 무임수송비율도 24.1%로 증가하여 연20억상당의 손실이 예상되고 있다.
더욱이 무임수송비율이 서울지하철 10.1%, 인천지하철 6.9%, 대구지하철 17%임을 감안할 때 광주는 그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여겨진다.
-> 나머지 상세한 내용은 저장의 한계로 한글97파일로 첨부하였습니다.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보도자료
광주지하철 개통1년, ‘시민의 발’로 정착
등록일 2005-04-23 00:00
작성자 운**
조회수 2402
- 첨부파일 개통1주년4.hwp 다운로드
자료관리담당부서 : 문화홍보팀
(604-8102)